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0

7.4 활성산소(ROS) 7.4 활성산소(ROS) – 수목은 세포를 파괴하는 '산소'로부터 자신을 어떻게 지킬까?식물이 살아가는 데 필수적인 산소(O₂)는 때로는 내부를 공격하는 독성 물질로 변질됩니다.고온, 강광, 가뭄, 병해, 오존, 염분 등 환경 스트레스가 가해지면 수목은 정상적인 대사 과정에서 제어되지 않은 산소 분자를 만들게 되고, 이를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라고 부릅니다. ROS는 세포 내 불완전한 산소 대사 결과물로,적절한 수준에서는 신호전달자 역할을 하지만 농도가 높아지면 세포막, 단백질, DNA까지 손상시키는 매우 위험한 독성 물질이 됩니다.1. 활성산소(ROS)란?활성산소는 전자 하나가 부족하거나 과잉인 불안정한 산소 화합물로, 다른 세포 구조물을 산화시켜 손상시키는 물질.. 2025. 7. 1.
7.3 수분 및 염분 스트레스 7.3 수분 및 염분 스트레스 – 나무는 어떻게 목마름과 짠맛을 견디는가?– 뿌리에서 잎까지, 수분 균형을 지키는 수목의 생리학나무는 뿌리부터 잎까지 긴 수로를 따라 물을 끌어올리며 살아갑니다.하지만 수분이 부족하거나, 염분이 과다한 환경은 이 순환을 끊어버립니다.그 결과 수목은 성장 속도를 늦추고, 잎을 말리고, 생존을 위해 자신의 구조와 생리를 조정합니다.수분 및 염분 스트레스는 도시화, 이상기후, 간척지 조림 등 다양한 상황에서 수목 생리와 실무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수입니다.1. 수분 스트레스 (건조 스트레스)수분 스트레스란?토양 수분이 뿌리의 흡수 요구량에 미치지 못할 때 발생하는 상태입니다.특히 고온, 강풍, 투수 불량 토양에서 자주 발생합니다.생리학적 반응반응 항목설명🔹 기공 폐쇄ABA .. 2025. 6. 30.
7.2 광 환경 변화에 대한 생리 반응 7.2 광 환경 변화에 대한 생리 반응– 빛의 언어를 읽는 나무의 능력빛은 식물의 생존에 있어 에너지의 공급원이자 생장 방향의 신호, 그리고 계절과 시간의 흐름을 인식하는 기준이기도 합니다.수목은 고정생물이지만 결코 수동적이지 않습니다. 광의 세기, 파장, 지속 시간(광주기) 등의 변화에 따라 자신의 생장을 조절하고, 생리 시스템을 능동적으로 어디서, 언제, 언떻게 자랄지 스스로 판단하고 조절하는 능동적으로 조정합니다.1. 광 환경의 주요 요소광 환경은 수목이 일상적으로 마주하는 외부 광 조건의 총합을 의미합니다.이는 단순히 빛이 강하냐 약하냐를 넘어서, 광의 세기(intensity), 파장(wavelength), 광주기(photoperiod), 광질(질적 구성)이 모두 포함됩니다.(1) 광의 세기(In.. 2025. 6. 30.
7.1 온도 스트레스 7.1 온도 스트레스 – 고온과 저온에서 나무는 어떻게 반응할까?수목생리학으로 들여다본 ‘기온 충격’의 생리 반응식물이 생장하는 데 영향을 주는 여러 환경요인 중 온도가 제한요소로 작용하는 데 이는 살아 있는 세포가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온도범위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사람이 더위나 추위에 지치듯, 식물도 온도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특히 수목은 한 자리에 고정되어 살아가기 때문에 극한 온도에 노출되었을 때 스스로를 지키기 위한 다양한 생리 반응을 진화시켜왔습니다.수목생리학은 이러한 온도 스트레스 상황에서 나무 내부에서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 그리고 어떻게 회복하거나 저항력을 높이는지를 과학적으로 밝혀줍니다. 효소를 포함한 단백질과 지질을 함유하고 있는 원형질막이 온도에 민감함으로써 임계온도.. 2025. 6. 29.
6.5 노화와 낙엽의 생리 기작 6.5 노화와 낙엽의 생리 기작– 낙엽은 끝이 아니라 생존을 위한 이별가을이면 어김없이 나무는 잎을 떨어뜨립니다.그 광경은 계절의 변화처럼 아름답지만, 수목생리학에서 그것은 철저히 계산된 생존 전략입니다. 잎은 결국 ‘낙엽’이 되기 위해 태어난다는 말이 있습니다.그 말처럼 낙엽은 단순한 노화가 아닌, 에너지 보존과 수분 손실 방지, 동해 대비 생존을 위한 고도의 생리 작용입니다.1. 노화(Senescence)의 시작 – 조용한 분해 프로그램잎의 노화는 ‘죽음’이 아니라 계획된 해체 작업(programmed senescence)입니다.잎이 더 이상 효율적인 광합성을 하지 못할 때, 나무는 내부 자원을 잎에서 뿌리나 줄기로 재배분하는 쪽을 선택합니다.생리 작용광합성 효율 저하 → 노화 유전자 활성화클로로필 .. 2025. 6. 29.
“2025년, 나무의사는 여전히 ‘유망한 미래직’일까요? “2025년, 나무의사는 여전히 ‘유망한 미래직’일까요?고령화 시대, 자연 치유 산업, 도시숲 확대와 함께 주목받고 있는 ‘나무의사’ 자격증.오늘은 전망부터 현실, 응시 조건과 전략까지 낱낱이 분석해보겠습니다.”목차향후 전망보수 및 작업 조건취업률 & 연령대별 경향시험 난이도 및 응시 요건현실적 문제점결론 & 조언 1. 향후 전망법적 전문 영역 확보: 2018년 ‘산림보호법’ 개정 이후, 오직 ‘나무의사’ 자격 보유자만 수목 진료를 수행할 수 있도록 규정이 강화되었으며 이로 인해 수요는 계속 증가 중입니다.수요 증가: 도시 숲, 공원, 가로수 등 전국적인 녹지 조성과 기후 위기 대응이 맞물리며, 전문가에 대한 수요는 계속 늘어갈 전망입니다희소 직군의 강점: 전체 자격자 수가 아직 많지 않아 전문가로서 희.. 2025. 6.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