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 노화와 낙엽의 생리 기작
– 낙엽은 끝이 아니라 생존을 위한 이별
가을이면 어김없이 나무는 잎을 떨어뜨립니다.
그 광경은 계절의 변화처럼 아름답지만, 수목생리학에서 그것은 철저히 계산된 생존 전략입니다.
잎은 결국 ‘낙엽’이 되기 위해 태어난다는 말이 있습니다.
그 말처럼 낙엽은 단순한 노화가 아닌, 에너지 보존과 수분 손실 방지, 동해 대비 생존을 위한 고도의 생리 작용입니다.
1. 노화(Senescence)의 시작 – 조용한 분해 프로그램
잎의 노화는 ‘죽음’이 아니라 계획된 해체 작업(programmed senescence)입니다.
잎이 더 이상 효율적인 광합성을 하지 못할 때, 나무는 내부 자원을 잎에서 뿌리나 줄기로 재배분하는 쪽을 선택합니다.
생리 작용
- 광합성 효율 저하 → 노화 유전자 활성화
- 클로로필 분해 → 잎의 색 변화 (녹 → 황/적)
- 질소, 인, 당류 등 이동성 영양분 회수
- 에틸렌과 ABA 분비 증가
이 과정은 순차적으로 진행되며, 빛, 온도, 수분, 일장(낮 시간) 등의 변화가 방아쇠가 됩니다.
2. 낙엽(Abscission)의 생리적 기작
잎이 떨어지는 과정은 단순히 "바람에 떨어진다"가 아니라, ‘탈리층(abscission layer)’이라는 조직이 형성되어 스스로 절단하는 작용입니다.
탈리층의 구조와 기능
- 잎자루(엽병) 기저부에 위치
- 세포벽을 약화시키는 효소(셀룰라아제, 펙틴분해효소 등) 분비
- 결국 해당 부위 세포들이 분해 → 물리적 분리가 가능해짐
- 남은 절단면은 코르크층 형성 → 병원균 차단, 수분 손실 방지
이 과정을 탈리(abscission)라 하며, 잎뿐 아니라 열매, 꽃에도 공통 적용됩니다.
3. 호르몬과 낙엽 – 에틸렌과 ABA의 공조 작용
에틸렌 (Ethylene)
- 낙엽 유도 중심 호르몬
- 탈리층 형성 유도 → 효소 분비 유도
- 노화 촉진, 조직 산화 활성화
아브시스산 (ABA)
- 에틸렌 분비 촉진
- 기공 폐쇄 → 수분 손실 억제
- 잎의 생리 활동 종료 유도 → 낙엽 신호 증폭
시기 | 호르몬 작용 |
광합성 약화 시 | ABA ↑ → 노화 유도 |
색 변화 시 | 엽록소 분해 + 당 이동 |
떨어지기 전 | 에틸렌 ↑ → 탈리층 생성 |
4. 노화와 낙엽의 단계별 생리 흐름
단계 | 생리 반응 |
① 노화 유도 | 광합성 저하, 광 수용 단백질 감소, ABA 증가 |
② 색 변화 | 엽록소 분해 → 카로티노이드/안토시아닌 노출 |
③ 영양분 회수 | 질소·당류 이동 → 줄기·뿌리에 저장 |
④ 탈리층 형성 | 셀룰라아제 등 효소 분비 → 조직 이완 |
⑤ 낙엽 | 절단 후 코르크화 → 방어막 형성 |
5. 수목 관리 실무에서의 의미
낙엽 발생은 스트레스 지표
- 비정상적인 조기 낙엽은 수분 부족, 병해, 환경 스트레스 반응 → 생리적 낙엽과 병적 낙엽의 구분이 중요
활착 유도와 전정 타이밍 조절
- 생리적 노화 전(초가을)에 수관 관리를 마치면 → 생장 분산 없이 영양분 회수에 집중 가능
과수원 낙엽 시기 조절
- ABA, 에틸렌 농도 조절로 낙엽 시기 제어 → 수확기, 숙기 조절에 활용됨
6. 나무는 가장 합리적인 선택을 한다
작용 | 생리 기작 |
잎 노화 | 광합성 효율 ↓ → 엽록소 분해, 에너지 회수 |
탈리층 형성 | ABA·에틸렌 분비 → 조직 분리 |
낙엽 | 탈리층 완성 → 잎 분리 → 상처 보호막 형성 |
수목 생존 전략 | 수분 손실 차단, 겨울 대비 에너지 저장 |
가을의 낙엽은 단순히 늙어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식물이 생존을 위한 자원 회수와 손실 최소화 전략을 선택한 결과입니다.
그 아름다운 붉은빛 뒤에는 광합성의 종료, 영양분의 후퇴, 방어막 형성이라는 고도의 생리학적 지휘 시스템이 존재합니다.
'수목생리학 > 수목의 생장과 생장조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6.4 생장 억제 호르몬: ABA, 에틸렌 (1) | 2025.06.27 |
---|---|
6.3 가지치기와 수형 조절의 생리학 (2) | 2025.06.27 |
6.2 식물 호르몬 – 옥신, 지베렐린, 시토키닌 (0) | 2025.06.27 |
6.1 생장의 단계 – 유세포에서 분열, 그리고 신장까지 (4) | 2025.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