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0

4.4 토양 수분과 근계 발달 4.4 토양 수분과 근계 발달– 수분이 뿌리를 설계한다뿌리는 수목의 생명을 지탱하는 지하 기관입니다. 그 뿌리의 형태와 밀도, 깊이, 확산 범위는 토양 속 ‘수분 조건’에 따라 극적으로 달라집니다.즉, 물의 양과 분포가 뿌리 생장을 설계하는 핵심 요인이며, 이는 근계(root system)의 구조 형성과 기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수목의 줄기(shoot)는 지상부에 노출되어 있어 크기, 생장량, 생장속도, 수종 간의 차이를 쉽게 식별할 수 있으나, 뿌리(root)는 지하부에 감춰 있기 때문에 식물 분류의 기준으로 사용되지 못합니다. 그러나 뿌리의 모양, 분포, 생장양식 등은 수종에 따라 매우 다양하며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1. 토양 수분이 뿌리에 미치는 영향뿌리 생장은 물이 있는 방향으.. 2025. 6. 24.
4.3 증산작용과 기공 개폐 4.3 증산작용과 기공 개폐– 수목이 물을 날리고, 기공을 여닫는 이유수목은 뿌리로 물을 흡수하지만, 그중 95% 이상을 공기 중으로 날려버리는 작용,바로 이것이 증산작용(Transpiration)입니다.표면적으로는 수분 손실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수목이 수분 순환, 냉각, 영양 수송, 생리 조절을 위해 선택한능동적 생존 전략입니다.이 모든 과정은 수목 잎에 있는 기공(stomata)의 개폐 운동에 의해 조절됩니다.1. 증산작용이란?증산작용은 식물 잎의 기공을 통해 수분이 수증기 형태로 대기로 증발되는 생리 작용입니다.수분은 물관(xylem)을 따라 뿌리에서 잎까지 이동한 뒤기공을 통해 기화되어 날아갑니다.이 과정은 에너지를 소모하지 않지만, 강력한 수분 이동력과 냉각 효과를 제공합니다. 증산의 주요 .. 2025. 6. 24.
4.1 뿌리의 물 흡수 기작 4.1 뿌리의 물 흡수 기작– 나무는 어떻게 땅속 물을 끌어올릴까?수목에게 물은 단순한 생명 유지 수단을 넘어, 광합성, 수분 증산, 양분 수송, 세포 팽압 유지 등 모든 생리활동의 기반이 되는 필수 자원입니다.이러한 물은 잎이 아닌 뿌리에서 흡수되며, 뿌리 내부에서는 정교하고 과학적인 방식으로 토양 속 수분을 선택적으로 흡수하고 식물체 전체로 전달합니다.수목의 뿌리가 어떻게 물을 흡수하고, 그 기작이 어떤 생리적 원리에 따라 이루어지는지를 살펴봅니다.1. 뿌리에서의 물 흡수: 어디서 시작되는가?물 흡수는 주로 어린 측근(root hair zone, 세근)에서 이루어집니다.이 구간은 뿌리털(root hairs)이 가장 많아, 표면적이 넓고 세포벽이 얇아 물 흡수가 유리한 구조입니다.또한 뿌리털은 토양입자.. 2025. 6. 24.
4.2 물관(xylem)을 통한 수분 이동 .4.2 물관(xylem)을 통한 수분 이동– 뿌리에서 잎끝까지, 나무 속 물의 여정을 따라가다수목이 살아가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자원 중 하나는 물입니다.이 물은 뿌리에서 흡수된 후, 줄기와 가지를 거쳐 잎끝까지 올라가며 광합성, 세포 팽압 유지, 양분 수송, 증산 작용 등 다양한 생리 기능에 관여합니다.이 놀라운 ‘수분 이동 경로’를 가능하게 하는 조직이 바로 물관(xylem)입니다. 1. 물관(xylem)의 구조와 역할물관은 식물체 내에서 수분과 무기양분을 뿌리에서 지상부로 수송하는 통로입니다.목부조직(xylem)이라고도 하며, 죽은 세포들이 튜브처럼 연결되어 있는 구조입니다.주요 세포 구성세포명특징물관요소(vessel elements)속씨식물에서 주로 발달, 빠른 수분 수송 가능헛물관 또는 가도.. 2025. 6. 24.
3.4 수목 호흡의 측정 및 해석 3.4 수목 호흡의 측정 및 해석– 나무는 얼마나 숨 쉬는가? 그 숨결을 수치로 읽다광합성과 함께 식물의 생존을 유지하는 또 하나의 생리 작용, 바로 호흡(Respiration)입니다.우리가 흔히 간과하기 쉬운 이 ‘숨 쉬는 과정’은 실제로 수목의 에너지 소비량, 건강 상태, 생리 스트레스 수준 등을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이 글에서는 수목의 호흡을 어떻게 측정하고, 그 데이터를 어떻게 해석하여 생장 관리에 활용할 수 있는지 소개합니다.1. 수목 호흡을 측정하는 이유수목 호흡량을 측정하면 다음과 같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생리적 스트레스 유무 (수분 부족, 고온, 병해 등)조직별 에너지 소비량 (잎, 줄기, 뿌리)생장기 vs 휴면기 대사 활동 비교수확 후 저장 수명 예측 (과실류, 묘목 등)즉, .. 2025. 6. 23.
3.3 생장기와 휴면기의 호흡 3.3 생장기와 휴면기의 호흡 변화– 계절이 바뀌면 나무의 호흡도 달라진다수목의 생리는 계절의 흐름에 따라 뚜렷하게 변합니다.특히 호흡량(respiration rate)은 생장기와 휴면기에 따라 크게 달라지며,이는 수목의 에너지 소비 전략, 생장 속도, 생존률 등에 영향을 미칩니다.호흡은 에너지를 쓰는 과정인 만큼, 수목은 그 시기와 목적에 따라 호흡 속도를 정교하게 조절하며광합성으로 생산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거나 보존합니다. 1. 생장기의 호흡: 에너지 소비가 최고조생장기는 수목이 새로운 조직을 만들고 몸집을 키우는 시기입니다.이 시기에는 에너지 수요가 급증하기 때문에, 광합성으로 만든 당류를 호흡 작용을 통해 ATP로 전환하는 속도도 함께 높아집니다.생장기는 일반적으로 봄~초여름, 혹은 수종에.. 2025. 6.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