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관3 5.2 탄수화물의 이동 경로 5.2 탄수화물의 이동 경로– 광합성으로 만든 에너지는 어디로 향할까?수목은 잎에서 광합성을 통해 탄수화물을 생성합니다.하지만 그 당류가 머무는 곳은 잎이 아닙니다.오히려 잎은 생산지(source)이고, 뿌리, 줄기, 꽃, 열매는 에너지의 소비지(sink)입니다.이렇게 동화산물(주로 탄수화물)이 생산지에서 소비지로 이동하는 경로와 방식은 수목의 생장 전략, 수세 유지, 자원 저장 능력까지 좌우하는 생리학의 핵심 메커니즘입니다.1. 탄수화물의 출발지수목에서 당류는 주로 잎의 엽육세포에서 만들어집니다.광합성에 의해 생성된 포도당은 설탕(sucrose)으로 전환되어 세포 밖으로 방출이는 동반세포(companion cell)를 통해 체관요소(sieve tube element)로 들어가 장거리 수송 경로에 진입합.. 2025. 6. 25. 4.1 뿌리의 물 흡수 기작 4.1 뿌리의 물 흡수 기작– 나무는 어떻게 땅속 물을 끌어올릴까?수목에게 물은 단순한 생명 유지 수단을 넘어, 광합성, 수분 증산, 양분 수송, 세포 팽압 유지 등 모든 생리활동의 기반이 되는 필수 자원입니다.이러한 물은 잎이 아닌 뿌리에서 흡수되며, 뿌리 내부에서는 정교하고 과학적인 방식으로 토양 속 수분을 선택적으로 흡수하고 식물체 전체로 전달합니다.수목의 뿌리가 어떻게 물을 흡수하고, 그 기작이 어떤 생리적 원리에 따라 이루어지는지를 살펴봅니다.1. 뿌리에서의 물 흡수: 어디서 시작되는가?물 흡수는 주로 어린 측근(root hair zone, 세근)에서 이루어집니다.이 구간은 뿌리털(root hairs)이 가장 많아, 표면적이 넓고 세포벽이 얇아 물 흡수가 유리한 구조입니다.또한 뿌리털은 토양입자.. 2025. 6. 24. 4.2 물관(xylem)을 통한 수분 이동 .4.2 물관(xylem)을 통한 수분 이동– 뿌리에서 잎끝까지, 나무 속 물의 여정을 따라가다수목이 살아가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자원 중 하나는 물입니다.이 물은 뿌리에서 흡수된 후, 줄기와 가지를 거쳐 잎끝까지 올라가며 광합성, 세포 팽압 유지, 양분 수송, 증산 작용 등 다양한 생리 기능에 관여합니다.이 놀라운 ‘수분 이동 경로’를 가능하게 하는 조직이 바로 물관(xylem)입니다. 1. 물관(xylem)의 구조와 역할물관은 식물체 내에서 수분과 무기양분을 뿌리에서 지상부로 수송하는 통로입니다.목부조직(xylem)이라고도 하며, 죽은 세포들이 튜브처럼 연결되어 있는 구조입니다.주요 세포 구성세포명특징물관요소(vessel elements)속씨식물에서 주로 발달, 빠른 수분 수송 가능헛물관 또는 가도.. 2025. 6. 2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