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시대 수목이야기
참나무(도토리나무) 종류 비교법
by 생각하는 나무01
2025. 7. 13.
참나무(도토리나무) 종류 비교법
참나무는 도토리를 맺는 활엽수로, ‘떡갈나무과(Fagaceae)’에 속하며 Quercus라는 속명(屬名)을 갖고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약 600종 이상이 있으며, 한국에도 20여 종 이상이 분포하고 있습니다.
‘참나무’라는 이름은 원래 떡갈나무(Quercus dentata)를 가리켰지만,
현재는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졸참나무, 굴참나무, 갈참나무 등 도토리를 맺는 나무들을 통칭합니다.
한국의 대표 참나무 6종 비교
종명 |
주요 특징 |
토토리 모양 |
잎 특징 |
주요 서식지 |
신갈나무 |
한국에서 가장 흔한 참나무. 도토리는 떫고 작음 |
작고 긴 타원형, 갓이 절반 이상 덮음 |
잎 뒷면에 별 모양 털 풍부, 가장자리 물결모양 |
중부~북부 산지 |
상수리나무 |
도토리 크고 맛 좋음, 도토리묵 원료로 사용 |
크고 통통한 타원형, 갓은 거의 없음 |
잎 넓고 광택 있음, 양면 털 적음 |
남부 평지 및 저지대 |
굴참나무 |
석회질 토양, 해안에 강함. 땔감, 숯용으로 인기 |
작고 딱딱한 원형, 갓이 반쯤 덮음 |
뒷면 은빛, 결각 깊고 주름 많음 |
남부 해안·도서지역 |
갈참나무 |
굴참과 유사, 대형 수종으로 가구재 활용 |
중간 크기, 마름모형 도토리 |
긴 타원형, 뒷면에 갈색 털 많음 |
전국 분포 |
졸참나무 |
도토리 크기 가장 작음, 고산지대 적응 |
아주 작고 단단한 도토리 |
잎 가장자리 예리한 결각, 털 적음 |
북부 고산지대 |
떡갈나무 |
낙엽이 늦게 떨어지고 잎이 크고 특이함 |
크고 납작, 갓이 반쯤 덮음 |
넓고 손바닥 모양, 결각 깊음 |
산림변두리, 조경지 |
잎으로 구분하기
- 졸참나무: 표면 거칠고 뾰족한 톱니
- 신갈나무: 가장 큰 잎, 아래면 흰색 털 많음
- 떡갈나무: 손바닥만한 크기의 큰 잎, 깊은 결각
- 상수리나무: 잎이 가장 길며, 물결무늬 톱니
도토리 형태로 구분하기
- 신갈나무: 잎 뒷면에 별모양 털 많음, 도토리 갓이 절반 이상 덮음
- 상수리나무: 가장 큰 도토리, 갓 거의 없음, 잎 넓고 광택
- 굴참나무: 뒷면 흰빛, 은색 느낌, 도토리 작고 단단
- 갈참나무: 굴참과 비슷하나 털이 갈색이고 좀 더 크고 털 많음
- 졸참나무: 도토리 작고 결각 깊은 잎
- 떡갈나무: 잎이 아주 큼, 깊은 손바닥형 결각
나무껍질로 구분하기
- 신갈나무: 울퉁불퉁, 두꺼운 회갈색 수피
- 갈참나무: 세로로 균열이 많음
- 졸참나무: 비교적 얇고 매끄러움
구분 |
신갈 |
상수리 |
굴참 |
갈참 |
졸참 |
떡갈 |
도토리 크기 |
중 |
큼 |
작음 |
중 |
매우 작음 |
큼 |
잎 특징 |
뒷면 털 풍부 |
넓고 반짝임 |
은빛 주름 |
갈색 털 |
뾰족 결각 |
손바닥형 |
서식지 |
중북부 산지 |
남부 평지 |
해안/석회암지 |
전국 |
고산지 |
조경/산기슭 |
응용 분야별 활용
분야 |
추천 수종 |
이유 |
임산물 생산(도토리) |
상수리나무 |
열매 크고 생산량 많음 |
조경 및 가로수 |
졸참나무, 상수리나무 |
내공해성, 형태 안정적 |
산림복원 |
신갈나무 |
자생력 강하고 생장 빠름 |
생태학 연구 |
갈참나무, 떡갈나무 |
지역별 적응성 차이 뚜렷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