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환경2

7.2 광 환경 변화에 대한 생리 반응 7.2 광 환경 변화에 대한 생리 반응– 빛의 언어를 읽는 나무의 능력빛은 식물의 생존에 있어 에너지의 공급원이자 생장 방향의 신호, 그리고 계절과 시간의 흐름을 인식하는 기준이기도 합니다.수목은 고정생물이지만 결코 수동적이지 않습니다. 광의 세기, 파장, 지속 시간(광주기) 등의 변화에 따라 자신의 생장을 조절하고, 생리 시스템을 능동적으로 어디서, 언제, 언떻게 자랄지 스스로 판단하고 조절하는 능동적으로 조정합니다.1. 광 환경의 주요 요소광 환경은 수목이 일상적으로 마주하는 외부 광 조건의 총합을 의미합니다.이는 단순히 빛이 강하냐 약하냐를 넘어서, 광의 세기(intensity), 파장(wavelength), 광주기(photoperiod), 광질(질적 구성)이 모두 포함됩니다.(1) 광의 세기(In.. 2025. 6. 30.
2.3 광포화점과 광보상점 2.3 광포화점과 광보상점광합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광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햇빛이 있어야 광합성이 이루어지므로 광도는 광합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칩니다. 암흑 상태에서 식물은 호흡작용만 항과고 이산화탄소를 방출하며, 서서히 광도가 증가하면 광합성을 시작하면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기 시작합니다. 어떤 광도에 도달하면 호흡작용으로 방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양과 광합성으로 흡수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이 일치하게 됩니다. 이때의 광도를 광보상점이라고 합니다. 광도가 광보상점 이상 되어야 식물이 살아갈 수 있습니다. 광보상점 이상으로 광도가 증가하면 광도가 증가하는 만큼 광합성량이 비례적으로 증가하다가, 어느 지점엔 더 이상 광합성량이 증가하지 않는 포화상태의 광도에 도달하는데 이때의 광도를 광포화점이라고 합니다.. 2025. 6.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