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토양학

토양의 모재가 되는 암석

by 생각하는 나무01 2025. 7. 3.

토양의 모재가 되는 암석

  • 암석이 풍화되어 토양이 됩니다. 
    여러가지 암석을 모암(parent rock)이라고 하는데 지각을 구성하는 암석은 화성암·변성암 ·퇴적암으로 구분합니다. 
  • 모재(parent material) 란 토양 형성의 기초가 되는 원암(原巖) 또는 퇴적물로, 풍화·토양 발달 과정을 거쳐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비옥도를 결정하는 핵심 요인입니다.

토양의 모재가 되는 암석

1.화성암

 

  • 화성암은 지하 깊은 곳의 고온·고압 환경에서 마그마가 냉각·응고하여 형성된 암석을 말합니다.
  • 마그마의 냉각 위치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1. 심성암(Plutonic/Intrusive Rocks): 지하 깊은 곳에서 천천히 냉각 → 큰 결정 생성
    2. 화산암(Volcanic/Extrusive Rocks): 지표나 얕은 곳에서 급속 냉각 → 미세 결정 또는 유리질
  • 구분형성 위치결정 크기주요 예시광물 조성
    구분 형성 위치 산성암( SiO₂ > 66%) 준성암( SiO₂ 66~52%) 염기성암 ( SiO₂ < 52%)
    심성암 지하 깊은 곳 화강암 섬록암 반려암
    반심성암 화산암 심성암 사이 석영반암 섬록반암 휘록암
    화산암 지표 혹은 얕은 곳 유문암 안산암 현무암
     
  • 화강암계 토양: 규산질 장석·석영 함량 높아 SiO₂ 비율 60–70 % 이상
  • 현무암계 토양: 철·마그네슘 광물 비중이 높아 SiO₂ 비율은 50–55 % 수준

 

2.변성암

  • 변성암은 기존의 암석(화성암·퇴적암 등) 화산작용이나 지각변동시 고온·고압·화학적 유체 작용 등 변성 작용(metamorphic conditions)을 받아 재결정화(recrystallization) 생성 암석입니다.
  • 변성 작용 중 광물의 배열(reorientation)과 새로운 광물(neomineralization)이 형성되어 원래 암석과 구별되는 조직·구조·광물 조성을 갖습니다.
  • 분류 및 주요 예
    분류 구분 특징 표 암석(한국명/영문명) 주요 광물 구성
    판상 변성암
    (Foliated)
    층리(판상 구조) 발달, 단층 방향 연장성 우수 편암(slate)
    편마암(phyllite)
    편리암(schist)
    편마암(gneiss)
    점토광물·흑운모·백운모·장석 등
    비판상 변성암
    (Non-foliated)
    층리 거의 없고, 균질한 덩어리질 조직 대리암(marble)
    석영암(quartzite)
    안산암유사 변성암(eclogite)
    탄산칼슘(CaCO₃), 석영(SiO₂) 등
    판상 변성암: 미세층리가 반복되어 박편처럼 쪼개짐(slaty cleavage)
    비판상 변성암: 동질적 덩어리, 등입질(granoblastic) 구조
  • 판상 vs. 비판상 구조에 따라 토양의 입도·pH·양분 특성을 결정하고, 모재로서 풍화 속도와 영양공급 능력에 따라 다양한 토양 유형을 만듭니다.

 

 

3. 퇴적암

  • 퇴적암은 기존 암석의 파편(쇄설물) 또는 해수·호수 등의 용해 물질, 생물 잔해가 운반·퇴적·압밀·석회화 과정을 거쳐 굳어진 암석입니다.
  • 지표 및 얕은 지각 환경에서 형성되어 층리(層理) 구조가 뚜렷하며, 지표 퇴적 환경과 연관된 화석을 포함하기도 합니다.
  • 분류한국어 명칭영어 명칭
    분류 주성분 및 형성 기작 pH 경향 / 주요 특성
    석회암 CaCO₃ 기반 화학적 침전 또는 생물성 껍질 잔해(조개, 산호) → 탄산칼슘 퇴적 중성~약알칼리, 칼슘 공급원
    응회암 화산재·화산쇄설물 화산폭발 시 분출된 화산재가 공중 낙하·퇴적 후 압밀·석결 산성~중성, 화산유리·각종 광물 혼합체

'토양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양의 개념  (1) 2025.07.03